인도 히말라야 라다크(Ladakh) 산맥의 고지대에서 포착된 눈표범(© Sascha Fonseca, WWF-UK)
서울--(뉴스와이어)--WWF(세계자연기금)가 ‘세계 눈표범의 날(International Day of the Snow Leopard)’을 맞아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위기에 처한 눈표범과 고산 생태계의 현실을 조명하는 자료를 발표했다.
10월 23일은 ‘세계 눈표범의 날’이다. 이날은 눈표범 보전을 위한 국제적·지역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2024년 유엔 총회에서 공식 지정됐다.
눈표범은 중앙아시아와 히말라야의 험준한 산악지대에서 살아가는 최상위 포식자로, ‘설산의 유령’이라 불릴 만큼 신비로운 존재다. 사람의 접근이 어려운 고산 지대에 서식하며, 좀처럼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연구와 관찰이 쉽지 않다. 이로 인해 눈표범은 여전히 파악이 어려운 야생동물 중 하나이자 보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기후변화와 인간 활동으로 눈표범의 서식지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인한 온도 상승은 히말라야 지역에서 2070년까지 최대 23%의 서식지를 사라지게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요 먹이 종의 분포가 이동하거나 감소해 먹이망과 번식지의 균형이 무너지고 있다.
눈표범의 감소는 단순히 개체 수의 문제가 아니다. 그들은 고산 생태계의 핵심종이자 생태계 건강을 보여주는 지표종이다. 눈표범이 사라지면 초식동물의 개체 수가 급증해 초원과 산림이 훼손되고, 이에 의존하는 수많은 생명체가 연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결국 눈표범의 위기는 곧 고산 생태계 전체의 위기다.
WWF는 중앙아시아 각국 정부와 지역사회, 전문가들과 협력해 서식지 보전, 불법 거래 근절, 과학 기반 모니터링, 보고서 발간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고산의 곡예사, 히말라야의 완벽한 생존자
눈표범은 해발 3000~4500m의 험준한 히말라야 고산지대에 서식하며, 추위와 절벽, 희박한 산소 속에서도 살아남은 완벽한 생존자다. 등에 약 5cm, 복부에 최대 12cm에 달하는 털은 체온을 유지하고, 길이 1m에 이르는 꼬리는 균형을 잡는 동시에 차가운 바람 속에서 담요처럼 몸을 감싸주며 보온의 역할을 한다.
짧은 앞다리와 강한 뒷다리는 몸 길이의 6배인 약 9m까지 도약할 수 있게 해 절벽과 협곡을 자유롭게 넘나들게 하며, 발바닥의 두꺼운 털은 천연 눈신처럼 작용해 눈 위에서도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다.
이러한 신체 구조 덕분에 눈표범은 바위투성이의 산악 지형에서도 놀라울 만큼 유연하게 움직인다. 좁은 암벽 사이를 누비며 먹이를 추적하는 모습 때문에 ‘고산의 곡예사’로 불리기도 한다. 회색빛 털은 설산의 바위를, 옅은 반점 무늬는 눈을 닮아 불과 몇 미터 거리에서도 발견하기 어려울 정도다.
은밀하고 민첩한 특성 덕분에 눈표범은 다른 대형 고양잇과 동물보다 조용하게 사냥하며, 사람의 눈에 좀처럼 띄지 않는 신비로운 존재감 때문에 ‘설산의 유령’이라 불린다.
인간의 그림자 아래, 사라지는 산의 왕
한때 중앙아시아와 히말라야 전역을 누비던 눈표범의 서식지는 이제 12개국의 일부 고산 지역으로 축소됐다. 현재 전 세계 눈표범의 개체 수는 약 4000~6500마리로 추정되며, IUCN(국제자연보전연맹) 적색목록에서 ‘취약(Vulnerable)’ 등급으로 분류된다.
눈표범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은 인간이다. 아름다운 털과 뼈, 신체 부위가 불법 야생동물 거래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일부는 여전히 장식품이나 전통 의학 재료로 사용된다. 먹이 부족으로 가축을 사냥한 눈표범이 보복성 살해를 당하는 사례도 끊이지 않는다. WWF 조사에 따르면[1] 연간 약 220~450마리의 눈표범이 인간에 의해 목숨을 잃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불법 사냥과 보복 살해가 눈표범 사망 원인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광산 개발, 수력 발전 및 관광 인프라 확충을 위한 도로 건설 등으로 서식지가 점점 줄어들며 단절화도 급속히 진행되고 있다. 인간 활동이 산악 지대 깊숙이 확장되면서 눈표범의 이동 경로가 차단되고, 자연 먹이인 푸른 양과 아이벡스 등의 개체 수가 감소해 먹이 부족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사람과 눈표범이 함께 사는 길, WWF의 보전 활동
WWF는 눈표범의 생존을 위해 지역사회, 정부, 과학자들과 긴밀히 협력하며 다양한 보전 활동을 펼치고 있다. 동부 히말라야 지역에서는 지역 주민과 함께 눈표범을 모니터링하고, 가축 피해를 줄이기 위한 포식자 방지 울타리 설치, 지역 보험 제도 운영, 생계 사업 강화 등을 통해 보복적 살처분을 최소화하고 있다. 또한 정부 및 지역사회 등과 협력해 야생동물 밀렵 단속을 강화하고, ‘온라인 야생동물 밀매 종식 연합(Coalition to End Wildlife Trafficking Online)’ 운영을 통해 불법 거래 근절에도 힘쓰고 있다.
과학적 접근을 기반으로 한 보전 활동도 활발히 이어지고 있다. WWF는 인도, 몽골, 부탄 등에서 눈표범 개체 수 조사를 지원했으며, 그 결과 부탄에서 2016년 대비 2023년 개체 수가 39.5%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GPS 위성 추적 목걸이를 통해 눈표범의 이동 경로와 서식지 이용 패턴을 연구하고, 환경 DNA(eDNA) 기술을 활용해 물이나 토양에 동물이 남긴 미량의 유전자를 분석함으로써 직접 관찰 없이 서식 여부를 파악하는 등 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보전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